물론 출퇴근 시간이나, 건물 내 금연 처럼 기업이나 국가 조직이 강제할 수 있는 새로운 규범들도 있다. 하지만, 일상 생활에 퍼져있는 문화는 항상 강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. 어떤 나라에서는 지하철에서 큰소리로 통화하는 것이 자연스럽지만, 다른 나라에서는 경찰이나 차장/기관사가 아무런 경고나 제재를 하지 않아도 승객들이 스스로 알아서 통화를 자제한다. 한 사회가 새로운 규범을 더 좋은 것으로 받아들이고, 외부의 강제 없이도 지키기로 하는 일은 항상 자연스럽게 진행되지 않으며, 누군가의 노력으로 확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.
그렇다면 구성원의 몇 퍼센트가 새로운 규범을 따르기로 할 때 조직/사회 전체로 확산될 수 있을까? 사이언스Science에서 소개한 논문에 따르면 그 매직 넘버는 25%라고 한다.
소위 “사회변화를 위한 티핑포인트tipping point”에 관한 연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있어왔고, 대개는 10%에서 40%까지 다양한 숫자가 제시되곤 했다.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아넨버그 스쿨Annenberg School for Communication에서 네트워크 역동성을 연구하는 데이먼 센톨라Damon Centola는 티핑 포인트를 찾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연구했다. 그 결과,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이 25% 미만일 경우 전체로 확산되는 데 실패하지만, 그 선을 넘는 순간 전체 그룹이 빠르게 새로운 규범을 받아들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.
경우에 따라서는 마지막 한 명을 확보하느냐, 마느냐가 확산과 실패를 가름하기도 했다. 센톨라는 대규모 사회변화의 경우, 사람들은 그 티핑 포인트에 다가가고 있는지를 알기 힘들지만, “단 한 명이 추가되어 25%가 넘으면 집단 전체가 생각을 바꾼다”고 한다.
이 연구는 전통적인 견해, 즉 사회를 바꾸기 위해서는 인구의 절반 이상이 생각을 바꿔야 한다는 생각과 전혀 다르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끈다. 즉, 변화를 원하는 사람들이 소수여도 전체 사회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. 여성이나 소수자에 대한 사회인식, 환경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바꾸는 일은 생각처럼 어려운 게 아닐 수 있다.
하지만, 이 연구는 또한 위험성에 대한 경고이기도 하다. 중국정부가 소셜 미디어에서 펼치고 있는 친정부 프로파간다 캠페인처럼 대중의 생각을 콘트롤하려는 시도 역시 소수의 구성원만 바꿔도 가능하기 때문이다.